카테고리 없음

사람, 강아지, 고양이 고혈압 진단의 차이점

아량아량드롱드롱 2025. 1. 25. 06:52
728x90
반응형
SMALL

사람, 강아지, 고양이의 고혈압 진단은 각 종의 생리적, 해부학적 특성과 병원 환경에서의 반응 차이로 인해 다양한 접근법이 요구됩니다. 아래는 이들 간의 고혈압 진단 차이를 상세히 설명한 내용입니다.


1. 혈압 측정 방법

사람:

  • 주요 기법:
    • 비침습적 방식으로 상완동맥에서 커프를 사용해 혈압을 측정.
    • 가정용 혈압 측정기(자가 혈압 측정)와 24시간 활동 혈압 모니터링(ABPM)도 사용.
  • 특징:
    • 24시간 활동 혈압(ABPM)은 진료실 고혈압(가면 고혈압)과 본태성 고혈압을 구분하는 데 유용.
    • 앉은 자세에서 최소 5분 안정 후 측정.

강아지:

  • 주요 기법:
    • 도플러 혈압계 또는 진동식 혈압계를 사용.
    • 커프를 꼬리나 다리에 부착해 비침습적으로 측정.
  • 특징:
    • 병원 환경의 스트레스로 혈압 상승(스트레스성 고혈압)이 흔하므로 안정된 상태에서 여러 번 측정 필요.
    • 도플러 혈압계가 가장 신뢰도가 높음.

고양이:

  • 주요 기법:
    • 강아지와 유사하게 도플러 혈압계를 사용하며, 커프를 꼬리, 앞다리 또는 뒷다리에 부착.
  • 특징:
    • 고양이는 스트레스에 민감하여 혈압이 쉽게 상승할 수 있으므로 반복 측정으로 안정 상태 확인 필수.

2. 정상 혈압 기준

사람:

  • 정상 혈압: <120/<80 mmHg.
  • 고혈압 기준: ≥130/80 mmHg.
  • 추가 정보:
    • 고혈압은 단계별로 분류(1단계: 130-139/80-89 mmHg, 2단계: ≥140/90 mmHg).

강아지:

  • 정상 혈압: 수축기 혈압 110-150 mmHg.
  • 고혈압 기준: ≥160 mmHg.
  • 추가 정보:
    • 강아지의 정상 혈압 범위는 종과 체형, 나이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음.
    • 신장 질환이나 내분비 질환 시 더 낮은 수치에서도 임상적 고혈압으로 판단 가능.

고양이:

  • 정상 혈압: 수축기 혈압 110-150 mmHg.
  • 고혈압 기준: ≥160 mmHg.
  • 추가 정보:
    • 고양이도 강아지와 유사한 기준이 적용되지만, 스트레스로 인한 일시적 고혈압 가능성이 더 높음.
    • 만성 고혈압의 경우 신장 손상과 망막 질환(출혈, 박리) 위험이 크므로 안구 검사가 중요.

3. 합병증 평가

사람:

  • 평가 항목:
    • 안저검사를 통한 망막증 평가.
    • 혈액검사(크레아티닌, BUN, GFR)를 통한 신장 기능 평가.
    • 심초음파 및 심전도로 심혈관계 상태 확인.
    • 뇌졸중 위험 평가.
  • 특징:
    • 본태성 고혈압이 대부분(90%)이며, 이차성 고혈압(10%)은 드물게 발견.

강아지:

  • 평가 항목:
    • 망막 출혈, 박리, 시력 손실 등 안구 합병증.
    • 신장 손상(크레아티닌, 단백뇨 검사).
    • 심장 비대와 좌심실 이완 장애.
  • 특징:
    • 고혈압은 종종 만성 신장병(CKD)이나 내분비 질환(쿠싱증후군 등)의 이차적 결과.

고양이:

  • 평가 항목:
    • 고혈압성 망막증(출혈, 박리, 시력 손실)이 흔함.
    • 신장 손상과 관련된 혈액 및 요검사.
    • 갑상선 기능 항진증으로 인한 이차성 고혈압.
  • 특징:
    • 고양이에서는 내분비 질환(특히 갑상선 기능 항진증)이 고혈압의 주요 원인.
    • 안구 합병증이 조기 진단에 중요한 역할.

4. 특수 검사

사람:

  • 자율신경계 검사(기립성 저혈압 등 병발 평가).
  • 24시간 활동 혈압으로 혈압 변동성 분석.
  • MRI, CT로 이차성 원인(뇌종양, 신장 동맥 협착 등) 배제.

강아지:

  • 심초음파 및 복부 초음파로 심장 및 내분비 질환 평가.
  • 쿠싱증후군(부신피질 항진증) 검사.
  • 신장 기능 평가(단백뇨, GFR).

고양이:

  • 갑상선 기능 항진증 검사(T4, fT4).
  • 복부 초음파로 신장 및 내분비 상태 확인.
  • 안과 검사로 망막 손상 확인.

5. 스트레스 요인

사람:

  • 진료실 고혈압(가면 고혈압)이 있을 수 있으나 스트레스에 의한 큰 변동은 적음.

강아지:

  • 병원 환경에서 스트레스로 인해 혈압이 비정상적으로 상승할 수 있음.
  • 여러 번 반복 측정과 환경 적응이 필수.

고양이:

  • 스트레스가 혈압 상승에 큰 영향을 미침.
  • 진단 시 안정 상태를 확인하거나 스트레스를 줄이는 방법 필요.

 

아래는 사람, 강아지, 고양이의 고혈압 진단 차이점을 표 형식으로 정리한 내용입니다.

 

구분         사람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강아지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고양이

혈압 측정 기법 - 상완동맥에 커프 부착.
- 비침습적 자동 혈압계 사용.
- 24시간 활동 혈압 모니터링(ABPM).
- 도플러 혈압계 또는 진동식 혈압계를 사용.
- 커프를 꼬리, 앞다리, 뒷다리에 부착.
- 반복 측정으로 평균값 계산.
- 도플러 혈압계 사용.
- 커프를 꼬리, 앞다리, 뒷다리에 부착.
-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한 안정화 과정 필요.
혈압 정상 기준 - <120/<80 mmHg.
- 고혈압: ≥130/80 mmHg.
- 단계별로 고혈압 분류(1단계, 2단계 등).
- 수축기 혈압: 110-150 mmHg.
- 고혈압: ≥160 mmHg.
- 종과 체형, 나이에 따라 변동 가능.
- 수축기 혈압: 110-150 mmHg.
- 고혈압: ≥160 mmHg.
- 스트레스로 인한 일시적 혈압 상승 가능성 높음.
주요 원인 - 본태성 고혈압(90%)이 대부분.
- 이차성 고혈압: 신장 질환, 내분비 질환, 대동맥 협착 등.
- 주로 이차성 고혈압: 신장 질환(CKD), 쿠싱증후군, 부신피질 이상 등.
- 유전적 요인, 심혈관 질환 관련.
- 이차성 고혈압이 일반적: 갑상선 기능 항진증, 만성 신장병(CKD).
- 내분비 질환이 주요 원인.
스트레스 영향 - 진료실 고혈압(가면 고혈압) 가능성.
- 그러나 심리적 스트레스로 큰 변동은 적음.
- 병원 환경에서 스트레스성 고혈압 흔함.
- 안정화 후 반복 측정 필수.
- 스트레스가 혈압 상승에 큰 영향을 미침.
- 안정화 및 반복 측정이 진단 정확성에 필수.
합병증 평가 - 안저검사: 망막증, 출혈 여부 확인.
- 신장 기능 검사(크레아티닌, GFR).
- 심초음파, 심전도 검사.
- 안구 합병증(망막 출혈, 박리 등).
- 신장 기능(단백뇨, 크레아티닌).
- 심장 비대 및 심부전 여부 평가.
- 고혈압성 망막증(출혈, 박리 등 시력 손실 동반).
- 신장 기능 검사.
- 내분비 질환(갑상선 항진증) 평가.
특수 검사 - MRI/CT: 이차성 원인(신장 동맥 협착, 뇌졸중 등) 확인.
- 자율신경계 검사.
- 복부 초음파: 신장 및 내분비 질환.
- 심초음파로 심혈관 상태 확인.
- 쿠싱증후군, 부신 피질 이상 평가.
- 갑상선 기능 검사(T4, fT4).
- 복부 초음파로 신장 및 내분비 평가.
- 안과 검사로 망막 손상 확인.
진단의 난이도 - 자가 혈압 측정 및 활동 혈압 모니터링으로 비교적 쉬운 진단 가능.
- 진료실 고혈압과 본태성 고혈압 구분 중요.
- 스트레스 요인으로 정확한 진단이 어려움.
- 다회 반복 측정으로 안정된 수치를 확보해야 함.
- 스트레스로 인한 혈압 상승이 진단에 영향을 미침.
- 안정 상태에서 측정 및 내분비 질환 동반 평가 중요.

요약

  1. 혈압 측정 방식: 사람은 24시간 활동 혈압 등 다양한 기법을 활용하며, 강아지와 고양이는 도플러 혈압계를 주로 사용.
  2. 원인 질환: 사람은 본태성 고혈압이 많고, 강아지와 고양이는 이차성 고혈압(신장 및 내분비 질환) 비율이 높음.
  3. 스트레스 영향: 동물(특히 고양이)은 병원 환경 스트레스의 영향을 많이 받음.
  4. 합병증 평가: 모든 종에서 망막, 신장, 심장 기능 평가가 필수적이나, 고양이의 경우 망막 손상 평가가 중요.
728x90
반응형
LIST